본문 바로가기
물리치료사 다랑이

견인치료의 효과, 방법, 적응증, 금기증에 대해서 알아보자!/견인치료의 요약!

by Physio_다랑 2020. 5. 28.

견인치료의 효과, 방법, 적응증, 금기증에 대해서 알아보자!/견인치료의요약

견인치료기견인치료기

척추견인의 효과 및 기전

  • 신체부분에 특정한 뱡향으로 당기는 힘을 적용하는 것 입니다.
  • 척추견인은 주로 척추부의 외상이나 병변에 의한 통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실시합니다.
  • 척추견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견인으로 척추 구조물을 늘어나게하여 신경근의 자극이나 압박을 제거시키므로써 통증을 완화 시키는데 있습니다.
  • 근육의 연축이나 가장자리 부분 조직의 저항에 대해서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몸통이나 사지를 견인하여 환부의 안정, 고정, 동통 완화 및 탕구의 정복을 목적으로 하는 정형외과의 중요한 보존요법 중 하나 입니다.
  • 척추구조물 중 뼈와 관절이 벌어지려면 주위 인대 및 근육이 신전되어야 합니다. 척추의 구조물이 어떤 순서로 늘어나는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경추견인을 실시하면서 cineradiography로 관찰한 바에 의하면 먼저 경추전만이 감소되면서 척추공(intervertebral foramen)이 넓어지며 전만이 완전히 사라지고 경추가 곧아진 후 추체간의 간격이 넓어지기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facet joint에서는 하부추체의 상측관절이 상방 및 전방으로 미끄러지는데 양쪽으로 동시에 일어나지만은 않습니다. 한편 추체간 간격은 척추 골절시 후방은 벌어지고 전방은 좁아지며 또한 척추견인시에도 추체간격은 전방에 비하여 더 늘어납니다.  따라서 척추견인시 경부를 굴곡시키거나, 골반이 위로 돌아가게 하여 경추부나 요추부의 전만을 감소시키는 것은 생체역학상 매우 중요합니다. Mathews(1968)는 요추간판탈출증 환자에게 요추견인을 하면서 epidurography를 실시한 바 후방으로 튀어나왔던 부분이 다시 편평해지고 푸간판내로 조영물이 들어가는 것이 관찰되었다고 하였는데, 이는 척추견인시 후방종인대(post, longitudinal lig.)가 팽팽해져 annulus fibrosis를 앞으로 밀게 되며, 또한 추간판 내 압력이 감소되어 빨아들이는 힘이 생겨, 나왔던 수핵(nucleus pulposus)이 흡수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는데, 체중의 60%의 무제로 견인할 때 추간판내 압력이 25%로 감소하였다는 Nachemson과 Elfstrom의 보고가 이러한 작용기전을 뒷받침해주고 있습니다.  Colachis와 Strohm (1965) 들은 경추에서 견인을 중단한 후에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던 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늘어났던 추체간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며 추체후방부에서는 20분경에 견인적 상태로 되돌아 갔으나, 전방부에서는 25분이 되었어도 일부 벌어진채 남아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아마도 전종인대(ant. longitudinal lig.)가 후종인대에 비하여 탄력성이 적기때문에 견인데 대하여 신전이 늦게 일어나는 반면, 견인을 중단하였을때에는 원상태로의 회복이 늦어지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 견인에 의한 척추구조물의 주된 변화.

   ㉠ 추체간공이 커집니다.

   ㉡ 추체간격이 넓어집니다.

   ㉢ 척추 주위 인대 및 근육이 늘어납니다.

   ㉣ Facet joint가 벌어집니다.



견인방법에 따른 분류

  • 견인 방법에 따라 지속적견인(continuous traction), 연속적견인(sustained traction), 간헐적견인(intermittent traction), 간헐적 진동견인(intermittent pulsed traction)으로 나눕니다. → 임상에서는 지속적견인과 간헐적견인이 주로 사용됩니다.

   ㉠ 지속적견인 : 추와 도르레를 이용하여 장시간(20~40시간) 지속적으로 견인하는 것으로, 견인 부위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대체로 작은 무게로 견인을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지속적 견인으로는 척추구조물이 늘어나는 것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척추배근의 연축(spasm)이 경감되고, 침상안정을 시킬 수 없기 때문에 입원환자에게 시행합니다.

   ㉡ 간헐적견인 : 동적견인(dynamic traction)이라고도 합니다. 견인과 휴식을 교대로 반복하면서 시행하는데, 대체로 견인은 7초, 휴식은 5~7초로 하며, 전체 치료시간은 약 25분정도로 합니다. 견인은 일반적으로 모터가 달린 기계로 실시하지만, 치료사에 의한 도수방법이 시행되기도 합니다. 간헐적 견인은 견인시간이 짧기 때문에 비교적 큰 무게도 환자가 견딜 수 있습니다.

  • 장점 : 견인과 휴식이 교대로 반복되기 때문에 마사지와 같은 효과가 있어 근육의 연축을 경감시키고, 신경근의 dural sleeve와 주위관절 구조물이 유착되는 것을 예방하며 나아가 혈액순환 증진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 단점 : 추체간 간격이 벌어지려면 약 20분간 계속적인 견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간헐적견인방법으로는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견인치료의 목적

  • 통증경감
  • 침상에 안정
  • 골절 또는 변위 예방
  • 척추 압박 요인 제거
  • 골절과 신체 부위 고정
  • 골격의 길이와 선형유지
  • 요추부의 근육연축을 감소
  • 근육 경련을 줄이거나 예방
  • 특정 체위로 사지 고정하여 손상 예방
  • 골절부위의 부동과 가장자리 부분조직 손상을 예방



견인치료 적용 방법

  • 목 견인 : chin-in 상태에서 후두(occiput)을 고정하여 무게를 설정합니다.
  • 허리 견인 : 골반을 고정하고, 상체를 고정하여 무게를 설정합니다.
  • 목 견인의 경우 체중의 10%, 허리 견인의 경우 체중의 50%의 강도로 견인을 시행합니다.
  • 견인시의 무게와 시간은 견인부위의 적응과 환자의 성별, 체격, 연령 등에 따라 적당히 가감되야 합니다.



견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척추 견인시 구조물이 늘어나는 것은 주로 가해지는 견인력의 크기에 좌우됩니다. 그러나 이 밖에도 견인시간, 견인방향, 견인시 환자의 자세 및 견인부위의 상태 등 여러인자들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견인치료의 적응증

  • 추간판탈출증으로 인한 통증
  • 추간판병변으로 인한 통증
  • Facet joint의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 골절치료 시작 전 부종예방
  • 골절편 고정을 위해 일시적, 단기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 Colachis(1986)의 척추견인의 적응증

   ㉠ intervertebral disc disease with or without root irritation

   ㉡ Disc protrusion

   ㉢ Facet osteoarthritis

   ㉣ Some soft tissue injuries

   ㉤ To stretch muscles and ligaments



견인치료의 금기증

  • 임신말기
  • 척추의 염증질환
  • 척추부위의 종양
  • 불안전한 척추외상
  • 진단이 불확실한 경우
  • 불안정한 인대를 동반한 류마티스성 관절염
  • Malignancy
  • Cord compression
  • Infectious disease of spine
  • Acute soft tissue injuries
  • Unstable post-traumatic lesions
  • Some cases of sciatica with neurologic deficits
  • Osteoporosis
  • Inadequate investigation
  • Others
  • In cervical spine

   ① Rheumatoid arthritis with ligamentous instability or subluxation

   ② Midline protrusion of herniated disc

   ③ Atherosclerotic obstruction of the carotid or vertebral artery

   ④ Cervical brachial pain with important neurologic deficits

  • In lumbar spine

   ① Compression S4 from disc

   ② Late pregnancy

   ③ Acute peptic ulcer

   ④ Hiatus hernia or other hernias

   ⑤ Cardiac aneurysm


  • Richardson의 견인치료 시 가장 주의하여야 할 기술상의 문제점 : ① 견인치료 방법에 대한 환자의 이해부족, ② 불충분한 견인력, ③ 부정확한 견인 방향, ④ 치료와 치료 기간이 너무 길어진 것 등



Colachis Jr.가 제시한 척추견인치료의 요약

  • 진단이 확실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시하지 않아야 합니다.
  • 견인으로 환자가 더욱 불편해 하면 중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간헐적 견인은 큰 무게로 견인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효과적입니다.
  • 경추견인은 discogenic disease로 인한 초기증세에서 가장 효과적입니다.
  • 척추견인 시 치료, 마사지 등 다른 종류의 물리치료를 실시하여도 좋습니다.
  • 전체적으로 보아 척추견인은 정확한 진단 하에 적합한 방법으로 실시하면 놀라울 정도로 좋은 진통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요추견인은 L5~S1보다 L4~L5에서 신경근 자극이 있을 때 효과적이며, 가정에서의 견인은 아무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 경추견인에서는 경부를 굴곡시켜야 하며, halter의 위치와 견인줄의 방향을 견인하는 힘이 턱보다는 후두에 더 주어지도록 하여야 합니다.
  • 척추견인은 척추체 간격와 facet joint 사이를 벌어지게 하고, 추체간공을 크게 하므로 신경근 압박에 의한 척추의 급성 및 만성 증세를 호전시킵니다.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다랑입니다. 오늘은 견인치료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오늘도 다랑이의 지식나눔이 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여기까지하고 인사드리겠습니다~ Bye~

댓글